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기관 및 무료이수방법

기술직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면서 최근 중장비, 벽지, 타일 등 전문 기술에 도전하는 분들이 늘고 있습니다. 전문기술을 배워두면 관련 분야 취업을 할 때 유리하기도 하지만 높은 활용도로 나이가 들어서도 장기적으로 근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전문 기술을 취득한다고 해서 바로 현장에 투입되는 것은 아닙니다. 현장은 위험물이 많은 환경이므로 자칫 중대사고와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을 통해 현장 상황과 사고 발생 시 대처 방법 등을 먼저 배워야 합니다.실제로 2014년 12월 이후 건설업 기초 안전 보건 교육은 산업 안전 보건 법 제31조에 근거한 법정 의무 교육으로 지정되고 건설 현장에서 근무를 희망하는 일용직 근로자는 필수적으로 4시간의 기본 수업을 이수해야 합니다.건설업 기초 안전 보건 교육을 이수한 후에 받게 된다 이수증을 소지한 근로자만 현장에 출입 및 근로가 가능하고 건설업 기초 안전 보건 교육을 미 이수할 경우에는 근로자 한명인당 과태료 10만원이 부과된 적발 횟수가 누적될수록 가중 처벌을 받게 됩니다.오늘은 이처럼 중요한 건설업 기초 안전 보건 교육 내용에서 이수가 가능한 기관, 무료 이수 방법 등을 꼼꼼히 알아보겠습니다.교육 내용교육 내용은 주로 일용직 노동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안전보건 지식에 대해 다룹니다. 2~3명의 전문 강사가 이론과 보호구 실습, 심폐소생술, VR 가상현실 체험 등 실습 활동을 포함한 교육 내용을 4시간 동안 수업합니다.교육 내용 시간 건설공사의 종류(건축, 토목 등) 및 시공절차 1시간 산업재해 유형별 위험요인 및 안전보건조치 2시간 안전보건관리체제 현황 및 산업안전보건 관련 근로자의 권리·의무 1시간이처럼 일용직 노동자들이 교육과정 중 직접 보호장구를 착용해 보거나 CPR 전용 마네킹을 활용한 심폐소생술 훈련, VR 가상현실 체험을 통해 사고 상황에 대한 안전수칙, 대피 방법 등을 배우기 위해 온라인 강의는 개설되지 않았습니다. 교육을 받기 위해서는 고용노동부에 등록된 전문기관을 직접 방문해 이수해야 하며, 4시간의 교육과정이 끝나면 당일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수증의 유효기간은 평생입니다.)교육 기관.교육 기관은 전국에 다양하게 위치하고 있는데, 모든 기관이 무료 이수 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기관의 등급에 따르고 무료 이수 과정의 운영 여부가 나뉘기 때문입니다.오늘 다루는 3곳의 기관은 S~A등급으로 분류된 기관에서 무료 이수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체계적인 수업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서울 대림동 교육장]-2호선/7호선 대림 역 6번 출구 위치-흙~일요일의 오전 수업 진행(주말 이수 가능)50m NAVER Corp.더 본다/OpenStreetMap지도 데이터 x NAVER Corp./OpenStreetMap지도 콘트롤러 범례 부동산가 읍 면 동 시, 군, 꼬치, 길 국가건설기초안전보건교육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림로29길 4 23층 건설기초안전보건교육원 예약건설기초안전보건교육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림로29길 4 23층 건설기초안전보건교육원 예약[서울 창동교육장] – 1호선/4호선 창동역 2번출구 위치 – 토요일 오전수업진행(주말이수가능) – 주차장완비로 무료주차가능 50m NAVER Corp. 더보기 / OpenStreetMap 지도 데이터 x NAVER Corp. / OpenStreetMap 지도 컨트롤러 범례 부동산 거리 읍, 면, 동 시, 군, 구 시, 도 국가건설산업안전보건교육센터 서울특별시 도봉구 노해로63길 79 우림빌딩 4층 406호건설산업안전보건교육센터 서울특별시 도봉구 노해로63길 79 우림빌딩 4층 406호[부산 범일동 교육장] – 1호선 범일역 2번 출구 위치 – 토요일 오전 수업 진행 (주말 이수 가능) 50m NAVER Corp. 더보기 / OpenStreetMap 지도 데이터 x NAVER Corp. / OpenStreetMap 지도 컨트롤러 범례 부동산 거리 읍, 면, 시, 군, 구, 도 국가대한창조안전교육원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로102번길 14 8층대한창조안전교육원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로102번길 14 8층대한창조안전교육원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로102번길 14 8층무료 이수 방법일용직 근로자가 해당 교육을 받기 위해서는 수업 시작 전 20분 전에 접수가 이뤄져야 하며 기본적으로 신분증, 교육비 두 가지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예약 없이 당일 신청 가능합니다.) 그러나 아래 조건에 해당하는 취약계층이면 정부에서 실시하는 지원사업에 참여하여 교육비 없이 무료로 이수할 수 있습니다.취약계층 대상자 준비물만 55세 이상 신분증만 지참, 20세 이하만 18세 미만 부모 동의서, 장애인복지카드 또는 장애인증명서, 기초생활수급자 수급자 증명서, 3개월 장기실업자 고용보험 자격이력내역서, 고용보험 일용근로내역서취약계층 대상자는 신분증과 본인에게 맞는 증빙서류를 준비하여 무료 이수가 가능하며 증빙서류 유효기간은 1주일 이내입니다. 정부 지원 사업은 매년 1월부터 11월까지 운영됩니다. 다만 정부가 정한 예산 중 선착순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11월 말 이전에 종료될 수도 있습니다.이 글은 원고료를 지원받아 작성했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