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우리바이오’
기업 개요

‘우리바이오’는 2000년 5월 우리ETI로 설립, 2001년 CCFL(냉음극 형광램프) 제품 출시, 2002년 LG디스플레이와 EEFL JDA 체결, 2003년 광원연구소 설립, 2004년 EEFL(외부전극램프 출시) 등 디스플레이 사업을 시작으로 2005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습니다. 이후 2012년 FPCB사업부 설립, 2019년 바이오사업부연구소 설립을 통해 우리바이오㈜ 사명 변경, 2020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충북대학교 GC녹십자웰빙MOU 체결, 식물공장 형식, 의약품원천소재 공동개발, 2021년 의료용 대마 수직형 식물공장 재배연구 및 해양생물 등을 활용한 건강기능식품소재 개발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부문

‘우리바이오’의 주요 사업부문으로는 ‘건강기능식품’, ‘FPCB 및 전자부품’, ‘LED PKG, BLU사업’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건강기능식품’ 부문에서는 연질캡슐, 경질캡슐, 정제, 환, 과립/분말, 액상 등을 OEM/ODM 방식으로 제조하고 있는데 그 매출 실적은 총 매출의 3%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 외 종속회사 LED, FPCB 제품 매출 실적이 97% 정도로 솔직히 사명만 ‘바이오’로 바이오 관련 사업을 하고 있다는 말에는 너무 부족하지 않습니까?라는 의문이 들 정도입니다.’우리바이오’ 종속회사를 포함한 총 매출 규모는 연간 약 1조3000억 규모 정도로 보이며, 대부분의 매출이 종속회사인 LED 관련 매출의 대부분으로 보면 볼수록 조금 애매한 기업 중 하나라는 것입니다.제무 상태와 주당 가치는?’우리바이오’의 재무상태는 자본(839억) 대비 부채(544억) 비율로 매우 건전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주당 가치를 따져보면 약 1,660원 정도로 현 주가 2,760원으로 약 1.5배 고평가 구간입니다.우리바이오 전망’우리바이오’를 보면 기업 자체의 목표가 좀 애매해요. 기업 명칭은 바이오지만 주요 사업은 LED, FPCB 등 전자제품 관련 사업이 중심이라는 점입니다. 아마도 디스플레이 업계 불황으로 인한 기업들의 성장이 정체되면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기 위해 바이오사업부 신설을 통해 변모를 찾고자 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드는데 여기저기 찾아봐도 바이오 관련 연구개발에 대한 부분이 없다는 점에서 보면 바이오 관련주라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포스팅을 위한 사전 조사 때 자세히는 못 봤는데 식물농장이라는 부분이 있어서 ‘우리바이오’를 스마트팜으로 포함시켰는데 이 부분 또한 조금 애매합니다. ‘우리바이오’가 가지고 있는 광원 기술을 바탕으로 ‘스마트팜’ 사업을 하려고 했던 것 같은데, 이 역시 스마트팜 시장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 ‘의료용 대마’를 재배하기 위한 것이 아니었을까요?라는 생각도 듭니다.[특징주] 우리바이오, 식품의약품안전처 대마성분의약품 ‘칸비스’ 도입 검토…국내 수도권 유일 천연 대마원료 개발 부상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대마성분의약품 ‘칸비스’ 도입을 검토 중이라는 입장을 밝히고 국내 수도권 유일 천연 대마원료를 개발 중인 www.etoday.co.kr최근 미국 조지아주가 일반 약국에서 의료용 대마 판매를 허용하면서 우리 바이오 주가가 하락 속에 급등한 모습인데 전반적인 하락세에 있다는 점, 식물공장을 이용한 의료용 대마 재배나 의약품 개발 연구로 인해 조금 반등하고는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대마라는 주제에 들어가기에는 좀 위험하지 않을까요?라는 식으로 됩니다.<본 포스팅은 개인적인 공부 내용을 기록한 것으로 투자를 조성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잠깐 쉬는 시간으로 연재소설 한 편 읽어볼까요?순진남과 그녀의 다이어리 (1) 순진남 다이어리 (1) blog. naver.com순진남과 그녀의 다이어리 (1) 순진남 다이어리 (1) blog. 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