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로보택시 vs 현대 아이오닉 5 로보택시
자율주행 기술을 기반으로 한 로보택시, 즉 자율주행 무인택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국내에서는 현대자동차를 비롯해 해외에서는 테슬라까지 다양한 업체에서 자율주행 로보택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특히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는 자율주행 기술을 기반으로 한 로보택시를 만들겠다고 이전부터 발표했습니다. 최근(4월 9일)에는 텍사스 오스틴 공장 개소식에서 일론 머스크는 대규모 완전한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한 로보택시를 출시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미래지향적인 디자인과 기능을 탑재하겠다고 했습니다

이 같은 발표를 한 이유는 테슬라가 독자적으로 개발 중인 자율주행 기능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아직 자율주행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인 것은 정부와 대부분의 사람들의 인식이며, 아직 사람이 운전하는 것보다 안전하다는 것을 인정할 수 없다는 것!물론 이날 일론 머스크는 로보택시의 구체적인 제원과 출시 시기에 대해서는 발표하지 않았습니다 일론 머스크는 로보택시 출시를 2019년 이후 매년 직간접적으로 언급했지만, 아직 실물이 공개되지 않은 이와 별도로 테슬라는 FSD 베타 버전을 북미 내 FSD 가입자 전원을 대상으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FSD 베타 버전은 여전히 운전자의 주의를 필요로 하는 단계이지만 도심 주행에서도 자동으로 차선을 변경하거나 조향이나 페달 조작 없이 스스로 경로를 유지하는 등 기존 ADAS보다 자율주행에 가까운 기능이 들어 있습니다* 테슬라가 로보택시에 필수적인 완전자율주행(FSD) 소프트웨어(SW)를 적용하지만, 미국 소비자단체들은 검증되지 않은 베타 버전을 대중에게 배포하는 행위는 위험하다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현재 테슬라는 ‘주행보조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을 1만2000달러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완전자율주행(FSD) SW가 아닌 운전자의 감시가 필요한 수준입니다 자율주행 기술 단계상 2단계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출처) TechNorns 테크논즈
여기서부터 한 단계 높은 레벨 3부터가 자율주행차로 분류되는 것입니다. 테슬라는 ‘완전 자율주행’ 베타 버전을 2020년 말 개발하고 있습니다. 올해 1월까지 미국 내 약 6만 대의 차량에 SW가 설치되었습니다

현재 테슬라와 모빌아이(Mobileye) 등은 수많은 주행 데이터를 축적한 AI로 분석된 주행 정보를 이용해 자율주행을 구현하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이와 반대로 애플, 구글의 와이모(Waymo), GM의 크루즈 등에서는 센싱 장비를 연결해 빛의 반사에 의한 ‘라이더'(LiDAR) 방식으로 자율주행을 구현하고 있으며, 두 방식 모두 아직 기술적 제약과 비용 문제 등 장단점이 있습니다국내에서도 자율주행차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현대자동차에서는 전기차 ‘아이오닉 5’에 기반한 로보택시가 내년 상용화에 앞서 세계 시험인증평가기관으로부터 안전성 검증을 받고 있습니다(현대 아이오닉 5 로보택시)최근 현대차와 앱티브의 자율주행 기술 합작사인 모셔널은 독일 시험평가기관인 TV슈드(TUV SUD)와 협력해 현대차의 ‘아이오닉 5 로보택시’ 안전평가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모셔널은 2023년부터 ‘레벨 4’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을 탑재한 ‘아이오닉 5 로보택시’를 미국 시장에 출시할 계획이라고 합니다모셔널에서는 로보택시 서비스 상용화에 앞서 자율주행 시스템과 지원 기술이 공공도로에서 안전하게 작동하는지에 대해 수년간 안전평가 과정을 거쳤다고 말했습니다 모셔널은 2020년 TV슈드의 운영디자인도메인(ODD)에서 운전자 없이 자율주행차를 운영할 수 있는 승인을 받은 바 있습니다 이번에는 자율주행의 완성도를 공공도로 수준으로 확장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것 같네요현대아이오닉5 로보택시10만 번의 시험 주행 동안 기술적인 문제 없이 200만 마일 이상을 운행한 적이 있어 기술적인 안전성에 자신이 있다는 입장을 보인 지금은 ‘TV 슈드’의 평가를 통해 안정성 인증만 남은 것 같네요 자율주행차 기술이 적용되면 앞으로 무인자동차와 택시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네요현대아이오닉5 로보택시하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숙제는 안전성입니다.완전 자율주행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사람이 운전하는 차량과의 안정성도 충분히 검증되어야 하기 때문에 변수가 많고 사고가 발생했을 때 대처 부분도 필요할 것 같습니다하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숙제는 안전성입니다.완전 자율주행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사람이 운전하는 차량과의 안정성도 충분히 검증되어야 하기 때문에 변수가 많고 사고가 발생했을 때 대처 부분도 필요할 것 같습니다하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숙제는 안전성입니다.완전 자율주행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사람이 운전하는 차량과의 안정성도 충분히 검증되어야 하기 때문에 변수가 많고 사고가 발생했을 때 대처 부분도 필요할 것 같습니다